비트코인을 법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규제할 것인가는 비단 우리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이에 이 포스트에서는 주요 국가들이 비트코인의 법적 지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엑셀로 정리하겠습니다.
국내에서는 비트코인이 화폐 기타 지급수단이 아니라는 입장만이 확립되어있을뿐, 구체적으로 어떤 법적 지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 중입니다.
위 엑셀 파일은 여기에서 보다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모스크바 중재재판소는 2018. 2. 26. 암호화폐는 파산채무자의 책임재산이 될 수 없으므로압류될 수 없다고 판정하였습니다.
- 마셜제도(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는 2018. 2. 28. 2018년 말까지 Sovereign이라는 명칭의 암호화폐를 정부에서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 독일연방재무부는 2018. 3. 1.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가 지급결제수단으로 사용되는 한 세금이 면제된다고 발표했다.
- 미국 뉴욕 연방지방법원은 2018. 3. 6, 미국상품선물위원회(CFTC)가 암호화폐를 상품(Commodity)으로 보고 규제할 수 있다고 판결하였다.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18. 3. 7. 증권의 정의를 충족하는 디지털자산이 거래되는 거래소들은 반드시 거래소로 등록하여야한다고 발표했다.
- 미국의회 ‘자본시장, 증권, 투자소위원회‘는 2018. 3. 14. 암호화폐, 디지털화폐, ICO의미래와 미국에서의 블록체인 개발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하였다. 소위원회의원들은 공청회에서 암호화폐의 미래에 대해 서로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 호주는 2018. 4. 3. 거래소에 대한 새로운 규제를 도입했다. 이 규제에 따르면, 거래소는 ① AML/CTF 프로그램을 채택 및 유지해야 하고, ② 고객들의 신분을 확인해야 하며, ③ 호국 금융거래 분석원에 의심 거래와 1만 달러의 거래를 보고해야 하고, ④ 특정 거래 기록은 7년간 유지해야 한다.
- 인도 대법원은 2018. 4. 6. 인도 중앙은행의 암호화폐 거래 금지 조치에 관한 소송을 금지시켰다. 인도 대법원은 암화화폐 거래 조치 효력정지 가처분을 기각하면서 이렇게 결정했다.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Jay Clayton 위원장은 2018. 6. 6.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는 법정통화의 대체물이지만(“Replace the dollar, the yen, the euro with Bitcoin. That type of currency is not a security”), ICO는 증권발행 규제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