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사회적 합의다.

소금에서 담배, 말린 생선, 쌀, 직물, 코코아 열매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에는 저마다 지급수단의 역할을 수행한 물품들이 있었다. 고대 바빌로니아인과 아시리아인은 보리를 사용했고 중세 노르웨이인은 버터를 사용했다. 중국인, 북아프리카인 및 지중해 상인들은 거대한 소금판을 교환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원시적인 형태의 지급수단은 기원전 12세기부터 동전으로 교체됐다. 그 후에 종이와 지폐가 등장했고, 이는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따라 서양까지 퍼져나갔다. 20세기에 들어서자 신용카드와 전자 지급수단이 이전의 시스템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 프리마베라 드 필리피, 아론 파이트 저, 정승민, 유정환 외 3명 역, 코드가 지배하는 세상이 온다, 미래의 창, 2020, EPUB 135 –

어떤 요건을 갖추면 돈이라고 할 수 있을까?

법률에서 돈으로 정의하면 돈이라고 할 수 있는가? 짐바브웨이는 자국 법령으로 짐바브웨이 달러를 법정화폐로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국민들은 짐바브웨이 달러를 사용하지 않고, 미국 달러를 돈으로 사용했다(그러자 결국 짐바브웨이 정부도 법을 개정해서 법정화폐를 미국 달러로 변경한다). 짐바브웨이의 사례를 보면, 법에서 법정화폐로 지정했는지 여부는 돈이 갖춰야할 요건을 아님을 알 수 있다.

돈은 그 자체로 어떠한 내재가치를 가져야 하는가? 닉스의 금태환정책 폐기 이전에는 내재가치의 유무가 돈의 요소라고 할 여지도 있었다. 하지만 금태환정책 폐기 이후, 미국 정부는 달러를 금으로 교환해주지 않는다. 미국 달러의 내재가치는 (그 액면금을 불문하고) 고작 ‘고급 종이’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내재가치 유무가 돈의 요건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돈은 사회적 합의다. 얍섬의 ‘스톤머니’ 사례는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만 있으면, 무거워서 소지할 수도 없고 그 자체로 아무런 효용가치가 없는 ‘돌’이 돈이 될 수 있음을 실증해준다.

그렇다면 암호화폐가 돈이 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스톤머니’에서 본 바와 같이, 사회구성원들이 암호화폐를 돈으로 인식하고 사용하기 시작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한국은행법의 규정, 내재가치 유무 등은 암화화폐가 돈일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려 요소가 될 수 없다.

세상은 점점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어 현금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고, 몇 차례의 금융위기와 COVID19에 따른 인플레이션을 통해 기존 화폐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다. 어느날 갑자기 사회구성원들이 암화화폐를 돈으로 합의하지는 않겠지만, 특히 비트코인과 같은 디플레이션 암화화폐는 점점 그 가치를 인정받고 사회구성원들 사이에서 돈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